What is "REading"?


 



안녕하세요~?

저는 봉자라고 합니다. 

모두 잘 지내시나요~? 

한국은 지금 너무 더워요. 정말 너무 더워요. 

모두 건강하게 잘 지내고 계시길 바래요. 


지난 라이브 스트리밍에 이어, 

제가 책을 읽고 있는데요.

법정 스님의 "무소유"라는 책이에요. 


오늘도 같이 나누고 싶은 구절이 있어서 이렇게 왔어요~:))


그것은 "읽는다"는 것에 대한 것이에요. 

여러분은 책을 왜 읽으세요? 

그리고 어떻게 읽으세요? 


사실, 저는 책을 어떻게 읽는 건지 잘 몰랐어요. 

그래서 책을 읽으면, 너무 머리가 아팠어요. 

근데 법정 스님의 이 구절을 읽고나서, 

아~ 이런 게 읽는 거구나~~라고 깨달았어요. 


어쩔 땐 그냥 생각없이 그대로 글을 받아들였어요. 

그래서 머리가 아팠던 거 같아요.

왜냐하면 글을 쓴 사람은 제가 아닌데,


아무리 훌륭한 사람이 쓴 책이라도, 

그 사람은 내가 아닌데,,, 

근데 그것을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하니까,, 

그래서 머리가 아팠던 것 같아요. 


근데 법정 스님이 "읽는 것"에 대해서 쓰신

이 구절을 보고, 제가 머리가 왜 아팠는지 깨달았어요. 


그럼 같이 그 구절을 볼게요~ 

한 문장이에요.

아, 두 문장이구나. 

한 문장은 질문이고, 다른 한 문장은 그 질문에 대해 법정 스님이 생각하는 답이에요. 


그 질문은,, 바로,,


"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?"


읽는다 v.  to read 

+는 것 

읽는다는 것 Noun reading / 


읽는 것 

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? 


"다른 목소리를 통해" 

다른 other 

목소리 voice 

-를 통해 through-


"나 자신의"

나 I / me / myself

나 자신 myself

-의 -'s


"근원적인 음성을 듣는 일" 

근원적인 original

음성 voice 

-을 object marker

듣는 adj. to listen 

일 thing / one / stuff,,,,work,,,, 



"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?

다른 목소리를 통해 나 자신의 근원적인 음성을 듣는 일이 아닐까."


그래서 이거를 읽고 나서,

제가 "아...!" 무릎을 탁 쳤어요. 

결국에 읽는것이란 내 목소리, 내 생각을 찾아가는 것이구나,, 라고 깨달았어요. 그리고나서 머리가 안 아팠어요. "독서" reading books 


독서는 항상 재미없고 지루하고 머리아프다고 생각했는데, 근데 이렇게 생각을 바꾸니까, 되게 재밌어질 거 같은 거예요. 

왜냐하면 독서는 저를 알아가는 과정이 됐으니까. 


그래서, 

이 구절을 같이 나누고 싶었어요. 

아마 이미 다 알고 계실 수도 있지만.. 


모두 몸 건강, 마음 건강 잘 챙기세요. 

어디에 계신지 모르겠지만,, 모두 좋은 하루, 좋은 밤 보내세요,, 


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
다음에 또 만나요~:))









 
















 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안녕하세요~?

저는 봉자라고 합니다. 

모두 잘 지내시나요~? 

한국은 지금 너무 더워요. 정말 너무 더워요. 

모두 건강하게 잘 지내고 계시길 바래요. 


지난 라이브 스트리밍에 이어, 

제가 책을 읽고 있는데요.

법정 스님의 "무소유"라는 책이에요. 


오늘도 같이 나누고 싶은 구절이 있어서 이렇게 왔어요~:))


그것은 "읽는다"는 것에 대한 것이에요. 

여러분은 책을 왜 읽으세요? 

그리고 어떻게 읽으세요? 


사실, 저는 책을 어떻게 읽는 건지 잘 몰랐어요. 

그래서 책을 읽으면, 너무 머리가 아팠어요. 

근데 법정 스님의 이 구절을 읽고나서, 

아~ 이런 게 읽는 거구나~~라고 깨달았어요. 


어쩔 땐 그냥 생각없이 그대로 글을 받아들였어요. 

그래서 머리가 아팠던 거 같아요.

왜냐하면 글을 쓴 사람은 제가 아닌데,


아무리 훌륭한 사람이 쓴 책이라도, 

그 사람은 내가 아닌데,,, 

근데 그것을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하니까,, 

그래서 머리가 아팠던 것 같아요. 


근데 법정 스님이 "읽는 것"에 대해서 쓰신

이 구절을 보고, 제가 머리가 왜 아팠는지 깨달았어요. 


그럼 같이 그 구절을 볼게요~ 

한 문장이에요.

아, 두 문장이구나. 

한 문장은 질문이고, 다른 한 문장은 그 질문에 대해 법정 스님이 생각하는 답이에요. 


그 질문은,, 바로,,


"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?"


읽는다 v.  to read 

+는 것 

읽는다는 것 Noun reading / 


읽는 것 

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? 


"다른 목소리를 통해" 

다른 other 

목소리 voice 

-를 통해 through-


"나 자신의"

나 I / me / myself

나 자신 myself

-의 -'s


"근원적인 음성을 듣는 일" 

근원적인 original

음성 voice 

-을 object marker

듣는 adj. to listen 

일 thing / one / stuff,,,,work,,,, 



"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?

다른 목소리를 통해 나 자신의 근원적인 음성을 듣는 일이 아닐까."


그래서 이거를 읽고 나서,

제가 "아...!" 무릎을 탁 쳤어요. 

결국에 읽는것이란 내 목소리, 내 생각을 찾아가는 것이구나,, 라고 깨달았어요. 그리고나서 머리가 안 아팠어요. "독서" reading books 


독서는 항상 재미없고 지루하고 머리아프다고 생각했는데, 근데 이렇게 생각을 바꾸니까, 되게 재밌어질 거 같은 거예요. 

왜냐하면 독서는 저를 알아가는 과정이 됐으니까. 


그래서, 

이 구절을 같이 나누고 싶었어요. 

아마 이미 다 알고 계실 수도 있지만.. 


모두 몸 건강, 마음 건강 잘 챙기세요. 

어디에 계신지 모르겠지만,, 모두 좋은 하루, 좋은 밤 보내세요,, 


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
다음에 또 만나요~:))

Comments

Popular posts from this blog

Korean Parenting TV Program